목록분류 전체보기 (66)
나그네소
EDB ODBC 사용법을 기록 한다. 1. EDB ODBC Install EDB odbc yum을 통하여 Install 한다. sudo yum -y install edb-odbc sudo yum -y install edb-odbc-devel 2. EDB odbc 접속 테스트 2-1) .odbc.ini [mydb] Description = PostgreSQL EDB connection to mydb Driver = /usr/edb/odbc/lib/edb-odbc.so Database = mydb Servername = 10.0.0.16 UserName = eduup Password = eduup Port = 5444 2-2) 접속 테스트 [postgres:/home/enterprisedb] isql myd..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Fhpli/btrQK7hZRle/U9HBkWhG4IiTFLrDOyIU5K/img.png)
Ark CDC 실시간 복제 솔루션을 소개 한다. 주력 제품은 Oracle for Oracle인 것으로 보이는데 나는 Opensource 관련 제품에 관심이 있어 이번 주제는 Opensouce인 postgresql 복제 관련 부분에 대하여 알아 본다. 일단 복제 솔루션은 제품의 Architecture보니 Software Replication으로 보면 될 것 같다. Oracle의 OGG이용 하기 보다는 Logfile dump 하여 해당 내용을 추출 network 통화여 전송 후 이를 동기화 하는 일반적인 Replication 솔루션으로 보인다. 1. Ark 설치 Ark CDC oracle & postgresql 실시간 복제 솔루션 1-1) 소프트웨어 요구 사항 설치 OPENSSL (LINUX 5) GNUTL..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soSh/btrQI7BJ2aO/S68jHzrz4qTxE9bNNO3i7K/img.png)
Kubernetes API 에서 Docker에 Goldilocks DB Container 여러개 생성 되는 과정을 기록 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해 본다. 1. Kubernetes 기본 동작 사항 사용자가 Kubernetes API에게 POD 생성 요청을 한다. API는 etcd etcd의 정보를 참고 하여 해당 node에 POD 생성해 달라 요청 한다. Node1,2 에는 kubelte에 Container 생성을 요청 한다. kubelte : 모든 노드에서 실행되는 k8s 에이전트 kubelte : 데몬 형태로 동작 한다. kubelet는 docker에게 컨테이너 생성 요청 한다. docker 에서는 local repository 또는 docker hub에서 해당 되는 이미지를 가지고와 Goldil..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f49XX/btrQGSSERpT/SZemkAn0MP922FZa0ngdr0/img.png)
postgrsql odbc Programm 관련 사용법을 기록 한다. 1. unix odbc, iodbc odbc로 접속을 하기 위하여 unix odbc 설치 하여야 한다. 1-1) yum을 통한 unix odbc 설치 yum install postgresql13-odbc.x86_64 -y yum install unixODBC-devel -y : unixODBC-devel -y 설치 하지 않으면 (sql.h, sqlext.h, sqltypes.h, sqlucode.h)가 없어 odbc compile을 할 수 없다. 1-2) file download 설치 link : https://www.postgresql.org/ftp/odbc/versions/msi/ download 2. odbc.ini 설정 odbc..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Halbf/btrQfEsnqaR/6VcXT1QtjSw4KJ8BIR3v7k/img.png)
Postgresql & EDB 관련 Sql 튜링 관련 부분을 기록 한다. 1. postgresql Architecture 공유 메모리, 매우 적은 수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와 데이터파일로 구성된다. 2. Postgresql Sql Cache Postgresql SQL Cache가 없어 개별 적으로 Session에서 Plan Cache 기능으로 처리 한다.개별 적으로 Plan Cache가 있기 때문에 해당 Session의 Plan이 다른 Session에서 발생 하게된다면 Plan를 새로운 세션에서 다시 만들어야 한다. prepare Stmt 수행 구조를 살펴본다. 3. Backend Processor Memory 관련 파라미터 work_mem 정렬 작업, Bitmap 작업, 해시 조인과 Merge 조인 작업..
Kubernetes 에서의 Namespace를 설명 한다. 1. kubernetes namespace란 논리적으로 분리 된 Kubernetes 라고 생각 하면 된다. 쉽게 얘기 하면 대한항공 쿠버네티스, 아시아니항공 쿠버네티스 . 기타 항공 쿠버네티스 위와 같이 각각의 (namespace : 대한항공, 아시아나 항공, 기타 항공) 논리적으로 완벽하게 분리 됨으로 써 사용 자는 하나의 장비에서 여러대의 쿠버네티스를 사용 할 수 있다고 생각 하면 된다. namespace 클러스터 하나를 여러 개의 논리 적인 단위로 나눠서 사용 쿠버네트시 클러스터 하나를 여러 팀이나 사용자가 함께 공유 용도에 따라 실행해야 하는 앱을 구분할 때 사용 2. namespace Command k get namespace 현재 운영..